이번 포스팅에서는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금융상품을 한눈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서민금융진흥원은 말 그대로 생계가 어려운 분들을 위한 다양한 금융상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제도권 금융권에서 대출 등이 어려운 분들을 위해 제공되는 상품들이니 내용을 잘 확인하셔서 본인에게 필요한 대출상품을 신청하시면 좋겠습니다.
보다 자세하고 정확한 내용은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서민금융센터의 연락처는 국번없이 1397입니다.
필요한 상품을 위해 현장 방문이 필요하신 분들은 각 지역에 있는 지점을 확인하여 방문하실 수 있습니다.
서민금융상품의 카테고리는 크게 6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생활안정자금 | 고금리대안 | 주거자금(전세특례) |
햇살론뱅크(2,500만원) 햇살론카드(200만원) 햇살론유스(1,200만원) 근로자햇살론(1,200만원) |
햇살론15(2,000만원) 최저신용자 특례보증(1,000만원) 소액생계비 대출(1,00만원) |
정책서민금융 이용자(8,000만원) 사회적배려 대상자(6,000만원) 신용횝고 지원자(6,000만원) |
창업/운영자금 | 자산형성) | 소액보험 |
미소금융 창업/운영자금(7,000만원) 영세가맹점주 금리우대(2.0% 캐시백) 민간사업수행기관 창업/운영자금(7,000만원) 전통시장 소액대출(1,000만원) |
청년희망적금(금리 9.3%) 미소드림적금(금리 10%) 청년도약계좌(기관별 상이) |
한부모 가정의료 보험(3,000만원) 서민자립지원 보험(2,000만원) |
각 카테고리별 상품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생활안정자금
햇살론뱅크: 최대 2,500만원(0.9~2%)
제도권금융 안착을 지원하는 보증부 대출 상품입니다.
정책서민금융상품을 이용했던 저신용·저소득자가 부채 또는 신용도 개선을 통해 은행권에 안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햇살론카드: 월 최대 200만 원
저신용자의 신용카드 발급을 지원하는 보증상품입니다.
신용카드 이용혜택에서 소외된 서민취약계층의 금융상품 선택권을 확대하고 건전한 소비로 이어질 수 있도록 신용카드 신규 이용을 지원합니다.
햇살론유스: 최대 1,200만 원(3.6~4.5%)
청년층 대상 보증부 대출 상품입니다.
취업준비생 및 사회초년생의 자금애로를 완화, 취업활동에 전념하고 제도권 금융에 안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근로자햇살론: 최대 2,000만 원(11.5% 이하)
근로자 대상 보증부 대출 상품입니다.
제도권금융 접근이 어려운 저소득·저신용 근로자에 대한 보증부대출을 통해 금융접근성을 제고하고, 금리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고금리대안
햇살론 15: 최대 2,000만 원(15.9%)
100% 보증 고금리 대안상품입니다.
대부업 등 고금리 대출 이용이 불가피한 저소득 저신용자를 위한 국민행복기금 100% 보증 고금리 대안상품입니다.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최대 1,000만 원(15.9%)
최저신용자 대상 100% 보증 고금리 대안상품입니다.
연체경험 등으로 햇살론 15 이용이 어려워 불법사금융 등 고금리 대출이 불가피한 고객 대상을 위한 서민금융진흥원 100% 보증 고금리 대안상품입니다.
소액생계비 대출: 최대 100만 원(15.9%)
대부업 조차 이용이 어려워 불법사금융이 불가피한 고객의 재기를 위한 정책서민상품입니다.
주거자금(전세특례)
정책서민금융 이용자: 최대 6,000~8,000만 원
정책서민금융상품 성실상환자를 대상으로 전세특례보증을 지원합니다.
사회적 배려 대상자: 최대 6,000만 원
사회적 배려대상자(저소득층, 중증장애인, 북한이탈주민, 다문화가정 등) 전세특례보증을 지원합니다.
신용회복지원자: 최대 6,000만 원
신용회복위원회 등 신용회복 지원기관에 채무변제 중인 사람을 지원합니다.
창업/운영자금
미소금융 창업·운영자금: 창업- 7,000만 원/ 운영- 2,000만 원
개인신용평점이 하위 100분의 20에 해당하는 자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이하 근로장려금 신청대상자를 지원합니다.
영세가맹점주 금리우대: 약정 금리대비 2.0%에 해당하는 이자액 캐시백
영세가맹점주의 금융비용 절감을 위해 최초 약정금리 대비 2.0% p에 해당하는 이자액을 캐시백 형태로 지원합니다.
민간사업수행기관 창업·운영자금: 최대 7,000만 원(6%)
창업지원 민간사업수행기관에 자금을 무이자로 지원하면, 사업수행기관이 이용자에게 낮은 금리로 자금을 대출입니다.
전통시장 소액대출: 최대 1,000만 원(4.5%)
전통시장 및 상점가 상인회 소속 영세상인을 대상으로 운영자금을 지원하는 소액대출사업입니다.
자산형성
청년희망적금: 월 최대 50만 원 납입/ 최대 9.3% 금리
청년들의 꿈과 내일을 응원하며, 청년층 저축 장려와 장기적·안정적 자산관리행태 형성을 위해 저축장려금을 지원합니다.
미소드림적금: 최대 10% 상당 금리
서민의 경제적 자립기반 마련 등을 위해 자산형성을 지원(미소금융∙채무조정 성실상환자)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월 최대 70만 원 납입(금리: 취급기관 자율결정)
더 나은 내일 더 높은 도약을 위해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을 위해 비과세혜택 및 정부기여금을 지원합니다.
소액보험
한부모가정의료보험: 최대 3,000만 원
경제적 기반이 취약하고 각종 위험에 노출된 분들에게 2022.07.31 ~ 2024.07.30 기간에 보험사고가 발생한 경우 3년 이내 보험금 청구가능합니다.
서민자립지원보험: 최대 2,000만 원
경제적 기반이 취약하고 각종 위험에 노출된 분들에게 제공하는 보장성보험입니다.
(서민금융제도 이용일로부터 3년, 3년 이후 별도 절차 없이 보험계약 종료)
필요한 상품을 위해 현장 방문이 필요하신 분들은 각 지역에 있는 지점을 확인하여 방문하실 수 있습니다.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 생활지원금 신청하기: 지금도 가능합니다! (0) | 2023.09.14 |
---|---|
직업훈련 중 생계비를 지원 받는 방법 (1) | 2023.09.06 |
아이폰 15 사전예약 출고가 혜택 미리보기 (1) | 2023.09.01 |
프링글스 박스로 사 먹기: 티스토리 글쓰기의 원동력 (0) | 2023.08.25 |
첫 만남 이용권 알아보기: 출산을 하면 200만 원을 지원해준다고? (1) | 2023.08.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