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정보

경기도에서 일인당 240만원씩 또 뿌린다네요...

by 도서리뷰어 2024. 11. 24.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기도에서 시행하고 있는 청년 지원 정책 몇 가지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이번에 소개해 드리는 지원 정책은 3 가지 기준으로 선정하였습니다. 

 

1. 청년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경기도 지역에 한정된 정책

2. 현금으로 지원해 주는 정책

3. 온라인으로 신청이 가능한 정책

 

내용을 잘 보시고 해당이 되는 경우, 온라인으로 신청을 하셔서 혜택을 누릴 수 있기를 바랍니다. 

 

청년월세 한시 특별 지원

 

해당 정책은 월세로 거주하고 있는 청년들에게 월 20만 원씩, 년 240만 원의 임대료를 지원하는 정책입니다. 

 

지원대상

19~34세의 독립거주 무주택 청년 중,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60%이하이면서, 원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100% 이하인 경우

여기서 원가구는 "청년독립 가구 + 1촌이내 직계 혈족(부/모)"를 의미합니다. 

 

위 조건에 만족을 하더라도 아래에 해당하는 경우는 대상에서 제외가 됩니다. 

1)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분양권, 입주권 포함)

2) 2촌 이내 혈족의 주택을 임차한 경우

3)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경우

4) 1실(방)에 다수가 거주하는 방식의 전대차인 경우

5) 국토부 또는 지자체에서 시행하는 청년월세 지원 수혜를 받고 있는 경우

 

서비스 내용

실제 납부하는 임대료를 최대 240만원까지 매월 분할하여 지원

 

신청방법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에 직접 방문하거나 온라인으로 신청

 

 

청년내일저축계좌

 

본인이 저축을 한 금액에 10만원~30만원 정액을 매칭하여 현금을 지급하는 정책입니다. 

지원대상

다음 3가지의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1) 신청당시 만 19~34세

2) 현재 근로 활동 중이며, 근로/사업 소득이 월 50만 원 초과~ 월 230만 원 이하

3) 소득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서비스 내용

매월 본인 저축 납입자에 한하여 본인 저축액 10만원이상 대비 정부지원금을 정액 매칭하여 지급

- 중위소득 50% 초과~100% 이하: 10만원 정액 매칭

- 중위소득 50% 이하: 30만원 정액 매칭

 

신청방법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접수 및 온라인으로 신청

 

자립준비청년 자립수당 지급

 

보호종료 아동에게 자립수당을 지급하는 정책입니다. 

 

지원대상

아동복지 시설, 가정위탁 보호종료 5년 이내 자립준비청년

 

서비스 내용

자립수당 결정 대상자 명의로 매월 50만 원 지급

 

 

신청방법

시설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접수 및 온라인으로 신청

 

 

이상으로 경기도에서 주관하는 청년 정책 중 가장 인기가 있는 3가지를 소개해 드렸습니다. 

내용을 잘 확인하셔서 경기도민으로서 혜택을 누릴 수 있기를 바랍니다. 

꿈을 가지고 살아가는 청년들의 삶을 응원합니다!

 

 

 

반응형

댓글